복지정책

2025년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바우처 신청방법, 절차, 사업소개

자꿈영 2025. 7. 8. 11:00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지역 맞춤형 사회서비스 개발을 통한 복지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시장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합니다.. 지

자체가 지역 특성 및 주민 수요에 맞는 사회서비스를 발굴 기획하는 사업으로서

지자체별 접수 일정이 상이하고 보통 상반기 1~2, 하반기 6~7월에 접수합니다..

접수 시기는 읍면동, 시청 담당자에 사전 문의 하시면 됩니다.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이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바우처(이용권) 형태로 제공하여 아동·노인·장애인·정신건강 등 다양한 계층이 지역 맞춤형 사회서비스를 선택해서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025년에는 이 사업이 더욱 고도화되어 디지털 기반 비대면 또는 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를 포함한 서비스 질 개선이 핵심 방향입니다.

이 사업은 수요자 중심, 지자체 특성 반영, 본인 부담 차등제등의 특징이 있어, 지역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복지 체계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주요 변화와 특징

·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확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맞춰 온라인 상담·재활·심리지원 등 디지털 플랫폼 기반 서비스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기관의 디지털 인프라 구축비용을 지원, 운영 효율이 20% 이상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바우처 금액·대상 세분화

저소득층, 노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바우처 금액이 소득 수준에 따라 10~20% 차등 지급되어 지원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부터는 소득 기반본인부담 비율이 더욱 정교하게 설계되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데이터 기반 서비스 품질 관리

이용자 만족도, 제공 기관 성과 평가, KPI 기반 성과관리데이터 중심의 성과관리 시스템이 전면 도입됩니다.

이를 통해 우수 기관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 등 보상 체계도 강화되어, 서비스 품질 전반이 향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개요 및 방향성

2025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보건복지부 및 시·도 지방자치단체 주도로 서비스 품목 확대, ·오프라인 하이브리드 지원, 전자바우처 시스템 고도화, 이용자 맞춤형 평가체계 구축등을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특히 서비스 다양화전략에 따라 아동정서, 노인건강, 장애인재활, 정신건강, 산모영유아 관리 등 대상으로 확대되어 주민 선택권을 크게 넓혔습니다.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고, 지방단위의 맞춤형 특화사업이 활성화되는 것도 2025년 사업의 주요 특징입니다.

 

사회서비스 전자 바우처 제도 이용 : 국민행복카드발급 필수

신청방법 : 방문 신청( 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신청필수서류 : 신분증, 건강보험증, 진단서 또는 서비스 이용 관련 증빙서류(서비스별 상이, 지자체 문의)

대상자 확정 후 이용기간 : 총 1년 이용가능(단, 성인 심리지원서비스는 6개월 이용)

 

 

2025 사업 대상별 주요 서비스

대상 주요 서비스 특징
아동·청소년 심리지원, 정서발달, 언어·놀이치료 등 바우처 방식 선택적 이용
노인 재활운동, 치매예방, 안마 등 운동·정신건강 서비스 강화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 안마, 통합재활 최대 3년 제공, 장애등록자 대상
정신건강 우려자 상담, 음악치료, 인지훈련 등 비대면·원격 시스템 포함 확대
산모·영유아 가정 산후우울 예방, 건강관리 출산 후 6개월 이내 신청
지자체 특화 반려동물 힐링, 가족관계 회복 등 지자체별 차별화된 기획사업

 

 

2025년 모집 일정과 지역별 운영 현황

2025년 상반기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전국 주요 지자체에서 1~6월 중 2차례에 걸쳐 이용자 모집을 완료했습니다. 안성시는 23일부터 7일까지 상반기 신청을 받았고, “우리아이심리지원, 장애인맞춤형운동서비스 등 8개 이용권 서비스에 총 325명을 선발했습니다.

아산시는 18일부터 15일까지 아동·청소년심리, 성인정신건강,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 등 7종에 걸쳐 640명을 모집했으며, 선정자들은 21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또한, 대전·서울·충남 등에서도 6월 기준 2차 모집 완료 및 가격탄력제 시행 준비 등으로 연간 운영 체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중위소득 기준

소득기준이 있는 서비스의 경우, 중위소득 내에 해당되어야 신청이 가능하며 서비스 대상자로 확정되면 소득 구간별 자기부담금이 있습니다. 해당 지자체에 신청 전 문의 하시면 됩니다.

 

중위소득 140% 이내 신청가능

- 해당서비스: 아동청소년 정서발달, 아동청소년 비전형성, 꿈을 이루는 행복한 가정만들기, 노인 문화예술 교육, 시각장애인 안마 서비스

가구원수  중위소득 14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1 3,349,000 118,821 46,072
2 5,506,000 196,177 133,680 198,905
3 7,036,000 252,203 196,416 256,716
4 8,537,000 311,031 269,976 320,322
5 9,952,000 354,964 320,449 369,517
6 11,291,000 407,092 382,076 431,294
7 12,584,000 461,699 447,279 506,004
8 13,877,000 506,004 496,008 552,230
9 15,170,000 552,230 545,970 599,810
10 16,464,000 599,810 591,277 673,463

 

중위소득 160%  이내 신청가능

- 해당서비스: 아동청소년 건강관리, 성인심리지원 서비스

가구원수  중위소득 16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직장+지역)
1 3,828,000 136,981 66,857
2 6,293,000 225,915 162,782 229,454
3 8,041,000 288,617 243,019 295,134
4 9,757,000 354,964 320,449 369,517
5 11,374,000 407,092 382,076 431,294
6 12,904,000 461,699 447,279 506,004
7 14,382,000 552,230 545,970 599,810
8 15,860,000 599,810 591,277 673,463
9 17,338,000 673,463 654,281 792,926
10 18,815,000 673,463 654,281 792,926

장애인 보조기기 렌탈서비스, 비만아동 건강관리 서비스는 소득기준 없음

 

 

신청 절차 및 필요서류

신청 절차

1. 지자체 공고 확인(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정부24)

2. 신청 기간 내 방문 접수(우편/온라인은 지자체별 상이)

3. 서류 제출 및 자격 심사

4. 선정 결과 통보

5. 바우처 수령 및 서비스 이용

 

필수 제출 서류

본인 확인용 신분증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국민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등 소득 증빙서류

서비스별로 의사 소견서, 진단서, 추천서등 추가서류 필요(서비스별로 필수 서류 상이)

 

 

결론 및 이용자 안내

2025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은 디지털과 현장 요소를 복합적으로 결합하고, 바우처 금액 차등 지급, 데이터 기반 성과 관리 시스템 도입등 통해 한층 더 발전된 복지 체계를 제공합니다.서비스 이용을 원하는 시민은 반드시 거주 지역의 읍··동 행정복지센터또는 정부24를 통해 공고일과 신청기간, 제출서류를 확인하고 기한 내 방문 신청해야 합니다.

지자체별로 서비스 제공 기간, 대상자 규모, 제공 항목이 다르므로, 꼭 해당 지역의 공식 홍보 자료를 통해 상세정보를 확인하시길 권장드립니다.